2018-07-20
자세한 내용
지역 재생에 가장 효과적인 아이템 중 하나가 문화, 예술이다. 실제 성공 사례도 많다. 스페인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과 영국 런던의 테이트 모던 미술관이 대표적이다. 이제는 대중도 문화, 예술이 재생을 불러온다는 상식을 갖출 정도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예술섬이라는 전략은 그리 특별하지 않다. 하지만 섬이라는 장소를 놓고 보면 탁월한 개념이자 전략이다. 섬은 교통과 통신으로 육지와 연결되어 있지만 단절된 장소로 인식된다. 그러다 보니 외지인에게 섬은 탈(脫)일상의 장소다. 이러한 이유로 섬은 개발이나 재생에 있어 일반적인 잣대로 전략을 세우기가 매우 어렵다. 다시 말해 편의 시설과 교통으로 대변되는 입지나 배후 인구 같은 일반적 기준으로 개발이나 재생의 성공을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섬의 특성을 생각하면 예술섬은 재생에 있어 상당히 탁월한 전략이다. ‘평온한 고립’이라는 독특한 상황을 활용해 매력적인 장소로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오시마부터 제부도까지 예술은 고립된 평온을 배경으로 도심의 어느 미술관에서도 맛볼 수 없는 분위기를 제공한다. 사람들이 번거로움을 무릅쓰고 찾아가는 이유이자 ‘최고’가 아닌 ‘유일’의 전략을 추구한 결과다. 재생을 목표로 한 섬에 외지인의 유입은 상당히 중요하다. 재생이 성공하려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미 산업 혹은 생업의 쇠락을 겪은 섬이 다른 산업을 유치하기란 상당히 어렵다. 앞서 얘기했듯 입지나 인구라는 경쟁 요소에서 뒤처지기 때문이다. 산업 대신 사람을 불러오는 전략적 선택이 유효한 이유다.
나오시마와 가파도는 예술을 통한 지역 활성화라는 표면적 특징 외에도 민간 기업 주도의 지역 재생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보통 재생의 주체는 시민과 공공이다. 보존을 기반으로 한 중소 규모 재생의 경우 주민이 주체하고 공공이 지원하곤 한다. 뉴욕의 하이라인과 상하이의 티엔즈팡이 대표 사례다. 반면 대규모 개발을 바탕으로 추진되는 재생은 공공이 주도하곤 한다. 스페인의 빌바오와 런던의 도크랜즈가 대표적이다. 다시 말해 민간 기업이 재생의 주체로 나서는 일은 흔치 않다.
가파도와 연홍도의 미래에 나오시마 같은 청사진이 나올지 궁금해진다. 하지만 재생의 특성상 성공 여부를 바로 판단할 수 없기에 인내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한다. 다만 예술섬을 벤치마킹하려는 지자체가 있다면 한 가지 부탁하고 싶다. ‘예술섬’이 아닌 ‘예술섬의 삶’을 들여다보라고 말이다.
약 10년 전 국내에 빌바오 열풍이 불었다. 멋들어진 뮤지엄 하나가 쇠락한 항구도시를 연간 100만 명이 찾는 명소로 바꾸어놓았다며, 언론은 연일 칭송했고 지자체에선 랜드마크 경쟁에 돌입했다. 빌바오의 성공을 ‘랜드마크 만들기=관광 자원화=도시 경쟁력 강화’로만 이해한 것이다.
빌바오가 추구한 것은 재생이다. 랜드마크를 통한 관광 자원화는 재생이라는 큰 그림 중 일부에 불과하다. 하지만 지자체와 언론은 당시 빌바오 전체의 환경 개선이라는 종합 전략을 뒤로한 채 랜드마크라는 표상에만 집중했다.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만 보고 달을 보지 못한 셈이다.
기우일지 모르지만, 지자체들 사이에서 예술섬 열풍이 분다면 빌바오 열풍과 같은 행태를 반복하지 않기를 바란다. 지자체는 재생 수단으로 ‘예술섬’이란 표상에 관심을 갖기 전에, 나오시마에서 베네세 재단이, 가파도에서 현대카드가 주민들의 삶에 주목한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하길 바란다. 주민의 삶이 예술섬에 녹아들지 않을 때 예술섬 전략은 재생이 아닌 환경 미화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CREDIT
에디터 김나랑 포토그래퍼 강은혜, 현대카드 제공
글쓴이 전상현(국민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